전체 글

수학/미적분학

미적분학 - 편미분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의 미적분학 - 다변수 함수의 극한과 연속에서는 다변수 함수에서의 극한과 연속의 정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를 통해서 단변수 함수와의 차이점과 공통점 역시 꼭 알아두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다변수 함수의 편미분(partial derivativ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편미분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서 일상생활에서 쓸 수 있는 표를 하나 준비하였습니다. 열 지표(heat index)는 온도(Temperature)와 습도(Humidity)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함수는 모르지만 $I = f(T, H)$라고 쓸 수 있겠죠? 이제부터 저희는 위 표의 열 중 진한 노란색 부분을 신경쓰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열은 습도 $H = 70$임을 의미합..

수학/미적분학

미적분학 - 다변수 함수의 극한과 연속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의 미적분학 - 다변수 함수에서는 다변수 함수의 정의와 정의역, 치역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또한 이와 관련된 그래프(graph)와 등고선(level curve)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미적분학 - 함수의 극한과 미적분학 - 연속 함수에서는 단변수 함수의 극한과 연속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다변수 함수에서 극한(limit)과 연속성(continuity)이 어떻게 정의되는 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다변수 함수의 극한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두 함수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f(x, y) = \frac{\sin(x^{2} + y^{2})}{x^{2} + y^{2}}, g(x) = \frac{x^{2} - y^{2}}{x^{2} + y^{2}}$$ 왼쪽과 오른쪽 ..

Programming/Coding Problem

BOJ 2439번 : 별 찍기 - 2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의 BOJ 2438번 : 별 찍기 - 1에서는 출력 패턴을 분석하는 별을 찍는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오늘도 역시 별 찍기 문제이지만 살짝 꼬인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 포인트 반복문 : for문 문자열 연산 예제 출력을 보시면 첫번째 줄에는 공백 4개 + 별 1개, 두번째 줄에는 공백 3개 + 별 2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지난 문제와는 다르게 공백의 개수도 함께 반복문으로 출력을 해주어야합니다. 이를 위해서 저는 공백을 먼저 출력한 뒤 그 뒤에 별을 줄의 개수에 맞게 출력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총 N개의 줄이 있을 때 i번째 줄에는 공백 N - i개 + 별 i개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N = int(input()) f..

Programming/Coding Problem

BOJ 2438번 : 별 찍기 - 1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의 BOJ 11022번 : A + B - 8에서는 반복문과 문자열 포맷팅을 이용해서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오늘은 반복문을 연습하기에 가장 좋은 별 찍기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 포인트 반복문 : for문 별 찍기 문제의 기본은 출력의 패턴 분석입니다. 출력을 보시면 첫번째 줄에는 별 한 개, 두번째 줄에는 별 두 개로 N번째 줄에 N개의 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복문을 통해서 문제를 풀 수 있겠네요.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 + 1) : print("*" * i) 참고자료 및 그림출처 백준 코딩 문제

Programming/Coding Problem

BOJ 11022번 : A + B - 8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의 BOJ 11021번 : A + B - 7에서는 반복문과 문자열 포맷팅을 이용해서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오늘도 동일한 방식의 문제를 가지고 왔습니다. 지난 포스팅와 방식은 똑같으나 출력만 다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핵심 포인트 반복문 : for문 문자열 포맷팅 : format 함수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 + 1) : A, B = map(int, input().split()) print("Case #{}: {} + {} = {}".format(i, A, B, A + B)) 참고자료 및 그림출처 백준 코딩 문제

Programming/Coding Problem

BOJ 11021번 : A + B - 7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의 BOJ 2742번 : 기찍 N에서는 range 함수를 내림차순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반복문, 문자열 포맷팅을 함께 사용하여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핵심 포인트 반복문 : for문 문자열 포맷팅 : format 함수 BOJ 2739번 : 구구단에서 사용했던 format 함수를 그대로 사용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출력은 "Case #{}: {}"이기 때문에 {}에 각각 어떤 값을 넣을 지만 결정해주면 됩니다. 패턴을 보시면 첫번째 {}에는 몇 번째 A + B를 계산하고 있는지, 두번째 {2}에서는 A + B를 출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문제를 풀 수 있겠네요.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 + 1)..

Programming/Coding Problem

BOJ 2742번 : 기찍 N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의 BOJ 2741번 : N 찍기에서는 입력받은 N을 기준으로 1부터 N까지 차례대로 출력하는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오늘은 그 역순으로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핵심 포인트 반복문 : for문 범위 생성 함수 : range 함수 BOJ 8393번 : 합에서 보았던 문제를 기억하시나요? 해당 문제에서 저희는 범위 생성 함수인 range 함수를 이용해서 1부터 N까지의 리스트를 만들어서 순서대로 iterable 객체에서 꺼내 합을 구하였습니다. 이때, 1부터 N까지의 리스트를 만들기 위해 range(start = 1, end = N + 1, step = 1)로 주었죠. 그런데, 이번에는 반대로 N부터 시작해서 1까지 구성된 값이 1씩 감소하는 리스트를 만들어야합니다...

Programming/Coding Problem

BOJ 2741번 : N 찍기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의 BOJ 8393번 : 합에서는 반복문을 이용해서 1부터 N까지의 합을 구하는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오늘 볼 문제는 지난 포스팅과 거의 유사하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핵심 포인트 반복문 : for문 N = int(input()) for i in range(1, N + 1) : print(i) 참고자료 및 그림출처 백준 코딩 문제

Johns Hohns
Everyday Image Pr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