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근 바빠서 포스팅을 못했는 데 오랜만에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포스팅 넘파이 알고 쓰자 - 문자열 연산 1에서 기존 파이썬에서 존재하는 문자열 연산을 넘파이를 이용해서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나중에 대용량의 문자열을 처리할 때 넘파이를 이용해서 처리한다면 for loop를 이용해서 하나하나 처리하는 것보다 넘파이의 vectorization을 통해서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겠죠? 오늘 포스팅에서도 이어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numpy.char.join(sep1, seq2) 파이썬에서 join 함수를 기억하시나요? 파이썬에서 문자열 리스트가 주어졌을 때 이들을 어떤 값을 사이사이에 넣고 하나의 큰 문자열로 합치는 메서드였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습니다. a..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의 넘파이 알고 쓰자 - Bit packing & output formatting에서는 마지막으로 몇 가지 남은 비트 연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넘파이에서도 문자열 연산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넘파이에서는 문자열을 위한 함수를 굉장히 많이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조금씩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설명드릴 함수들 중 몇 가지는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함수들이 있습니다. 이 함수들과 비교하면서 공부하시면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1. numpy.char.add(x1, x2) 이 함수는 기존 파이썬의 문자열끼리 더하는 + 연산과 완전히 동일한 함수입니다. 아래의 예제를 보면 쉽게 이해하실겁니다. 심지어 인수도 두 개의 문자열만을 ..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의 넘파이 알고 쓰자 - Elementwise bit operations에 이어서 오늘은 다루지 못한 Bit packing과 output formatting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numpy.binary_repr(num, width=None) 이 함수는 십진수를 이진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주 간단한 함수입니다. num에는 변환할 십진수가 들어가고 width에는 몇 비트로 표현할 것인지 적어주면 됩니다. np.binary_repr(3) # '11' np.binary_repr(3, width=3) # '011' np.binary_repr(3, width=4) # '0011' np.binary_repr(3, width=5) # '00011' 이와 같이 width를 바꾸게 ..
안녕하세요. 오늘도 Medium 포스트를 번역하는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의 포스팅은 제가 가장 처음에 했던 everyday-image-processing.tistory.com/95와 꽤나 유사합니다. 하지만 차이점은 3D 영상을 그대로 사용하는 지 안하는 지가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아티클 정리 - Medical images segmentation with Keras: U-net architecture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구독하는 사이트 중에 하나인 Medium이라는 사이트의 기사를 번역하는 일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번역할 기사의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링크 Medical im everyday-image-processing.tistory.com 아래 링크는 원본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꽤나 흥미로운 포스팅을 하나 준비해왔습니다. 최근에 딥 러닝의 추세라고 볼 수 있는 강화학습과 관련된 포스팅입니다. 본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링크 Policy Gradient Reinforcement Learning in PyTorch Solving the OpenAI gym problem with policy gradient learning medium.com 강화학습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해서 먼저 environment와 agent에 대해서 설명해야합니다. agent는 딥 러닝으로 생각해보면 모델이 됩니다. agent는 항상 특정 state에서 최상의 reward를 얻기 위한 action을 취하게 됩니다. 그 reward와 다음 state에 대한 정보는 environment와 상호작..
안녕하세요. 지난 포스팅의 넘파이 알고 쓰자 - 넘파이 원소 재배열하기에서는 영상 처리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flip 함수들과 rot90 함수에 대해서 설명하였습니다. 오늘은 and, or, xor과 같은 논리 연산과 쉬프트 연산인 left_shift와 right_shift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역시 아주 간단하기 때문에 쉽게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1. numpy.bitwise_and(x1, x2) 먼저 논리 연산자 중에서 많이 쓰이는 and 연산과 관련된 함수입니다. 파이썬에서도 이 and 연산은 조건문이나 반복문의 탈출 조건을 명시할 때 사용되는 흔한 함수입니다. 하지만, 이를 비트 단위로 바꿔서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 비트란 정보를 표현하는 최소단위를 의미합니다. 여러분들의..
안녕하세요. 오늘의 번역할 포스트는 아래의 링크입니다. https://towardsdatascience.com/building-a-face-recognizer-in-python-7fd6630c6340 Building a Face Recognizer in Python Step-by-step guide to face recognition in real-time using OpenCv library towardsdatascience.com 제목에서도 보시다싶이 오늘은 파이썬의 opencv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얼굴 인식기를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얼굴 인식은 현재 스마트폰이나 얼굴 인식으로 여는 현관과 같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술 중에 하나입니다. 그만큼 연구가 활발하다는 소리이겠죠. 이번 포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구독하는 사이트 중에 하나인 Medium이라는 사이트의 기사를 번역하는 일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번역할 기사의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링크 Medical images segmentation using Keras https://github.com/soribadiaby/Deep-Learning-liver-segmentation towardsdatascience.com 이 글을 써주신 Soriba D.님에게 먼저 감사의 인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Segmentation은 의학 영상 처리에서 기초적이고 중요한 분야 중에 하나입니다. 이러한 Segmentation 작업은 주로 자동화나 반자동화된 작업으로써 2D, 3D 영상에서 어떤 객체를 찾는 것이 목표입니다. 이때, ..